본문 바로가기

알아가는 정보

추경안에 '일반 예비비' 4000억 포함 논란|재난 대응인가, 쌈짓돈 확보인가?

출처:KBS

 

정부가 2025년 12조 2천억 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편성하면서,
용도 제한이 없는 일반 예비비 4000억 원을 슬그머니 포함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목차]

  1. 핵심 요약
  2. 추경안 상세 내용
  3. 과거와 비교해 왜 문제가 되나?
  4. 기재부 해명은?
  5. 논란의 핵심

 

📋 핵심 요약

구분 내용
추경 총액 12조 2000억 원
재해·재난 예비비 편성 1조 4000억 원
이 중 일반 예비비 4000억 원
문제 제기 포인트 일반 예비비 존재를 공개하지 않고 발표

출처: 경향신문 기재부 제공

✅ 추경안 상세 내용

 

기획재정부는 지난 18일,

“산불 추가 복구와 여름철 태풍·집중호우 등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재해·재난 예비비를 1조4000억 원 보강했다”
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세부 내역을 살펴보면,

  • 실제 재난 목적의 ‘목적 예비비’는 1조 원
  • 사용처가 자유로운 ‘일반 예비비’가 4000억 원
    으로 구성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기재부는 공식 발표에서는 일반 예비비 편성 사실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습니다.

 

🧠 과거와 비교해 왜 문제가 되나?

 

과거 재해·재난 추경에서는 목적 예비비만 편성하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연도 추경 목적 일반 예비비 포함 여부
 2002년 (태풍 루사) 재해대책
2003년 (태풍 매미) 재해대책
2006년 (태풍 에위니아) 재해대책
2025년 (이번) 재해·재난 대응 + 일반 예비비 포함

👉 이번이 최초로 재해 추경에 일반 예비비가 편성된 사례입니다.

출처: 경향신문

📢 기재부 해명은?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국회에서 예비비가 과도하게 삭감돼 가용 재원이 거의 없다”
“산불 복구 이후에도 통상적 이슈나 예상치 못한 재해에 대응하려면 일반 예비비가 필요하다”
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민주당 주도로 정부 예비비가 절반 가까이 삭감된 상황이었습니다.

  • 기존 정부 제출안 4조8000억 원 → 국회 통과안 2조4000억 원
  • 이 중 일반 예비비는 2조2000억 원 → 8000억 원으로 축소

기재부는 이 점을 들어 불가피한 대응이었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 논란의 핵심

  • 📌 명확히 설명하지 않고 일반 예비비를 ‘재난 대응’ 명목 아래 끼워넣었다는 점
  • 📌 국회 통과 때 국민 세금의 사용처를 분명히 해야 한다는 원칙 위반 우려
  • 📌 “쌈짓돈처럼 쓸 수 있는 일반 예비비 확보” 비판

전문가들은

“필요하다면 솔직하게 국민에게 설명하고 요청했어야 했다”
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 생각해봅시다

  • 재난·재해 명분으로 일반 예비비를 끼워넣는 방식, 정당할까요?
  • 정부 재정 운영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지키려면 어떤 제도가 필요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