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가는 정보

📣 울산 반구천 암각화, 드디어 한국의 17번째 세계유산 등재

출처: 한겨레

6천 년 전 고래 사냥의 숨결, 이제 인류의 유산이 되다.

2025년 7월 12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울산의 반구천 암각화(Petroglyphs along the Bangucheon Stream)가 세계유산으로 공식 등재되었습니다.

오랜 시간 한국 문화계와 지역사회가 기다려온 순간.
드디어, 인류 모두가 함께 지켜야 할 세계의 보편적 가치(OUV)로 인정받았습니다.

 

[목차]

출처: 한겨레

 

🔍 반구천 암각화, 어떤 유산인가요?

‘반구천 암각화’는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로 구성된 유산입니다.
두 유적은 선사시대 한반도인의 생활상, 예술성, 신앙관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바위그림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 반구대 암각화 (1971년 발견)
    가로 8m, 세로 4.5m 절벽에 고래, 멧돼지, 호랑이, 사냥꾼 등 300여 개의 생동감 넘치는 그림 새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래 사냥 묘사
  • 📌 천전리 암각화 (1970년 발견)
    기하문, 사슴, 용, 신라 왕족 명문까지 남겨진 선사~역사 시대 복합 유산
    예술성과 역사성을 동시에 지닌 보기 드문 유적

 

🏆 세계유산 등재, 어떻게 이뤄졌을까?

 

이번 등재는 하루아침에 이뤄진 결과가 아닙니다.
1971년 발견 이후 50년 넘게 학계, 정부, 지역사회가 함께 준비해온 결실입니다.

  • ✔ 2023년: 유네스코 등재 신청
  • ✔ 2024년: 공식 제출 및 국제자문기구(ICOMOS) 현장 심사
  • ✔ 2025년 5월: 등재 권고
  • ✔ 2025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 최종 등재 확정

유네스코 자문기구는 다음과 같이 평가했습니다:

6천 년간 지속된 암각화 전통의 독보적 증거이며,
선사인의 예술성과 사실적 묘사가 뛰어난 걸작이다.”

출처: 뉴스1

🇰🇷 한국의 17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

 

울산 반구천 암각화의 등재로 한국은 총 17건의 세계유산(문화 15, 자연 2)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 세계유산 연도별 등재 목록 중 일부

  • 1995년: 석굴암·불국사, 종묘, 해인사 장경판전
  • 2000년대: 창덕궁, 고인돌 유적, 수원화성 등
  • 2023년: 가야고분군
  • 2025년: 반구천 암각화 ← 최신 등재

이로써 한국은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문화유산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 세계가 주목하는 울산의 유산

 

울산은 흔히 산업도시로만 인식되지만, 사실 선사문화의 중심지이자 생태·문화 복합도시입니다.
암각화가 있는 반구천 일대는 자연 그대로의 환경 속에서 선사인의 삶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여행 포인트 추천

  • 반구대 암각화 현장: 유리전망대 설치로 직접 관람 가능
  • 천전리 암각화: 계곡 따라 산책하며 감상 가능
  • 암각화박물관: 해설 + 실물 복제본 전시
  • 태화강 국가정원: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대표 생태명소

출처: 한겨레

🧒 아이와 함께 떠나는 시간 여행

 

이 유산은 아이들의 역사 교육에도 훌륭한 콘텐츠가 됩니다.
직접 바위에 새겨진 그림을 보고 “이건 뭐야?” 묻는 순간,
책에서 배운 선사시대가 눈앞의 현실이 되는 마법이 펼쳐집니다.

 

💬 문화유산은 미래로 남기는 선물입니다

 

울산 반구천의 암각화는,
그저 오래된 바위그림이 아닙니다.

시간을 품은 기록이자, 선사인의 숨결이 남은 예술입니다.
이제는 울산만의 것이 아니라, 인류 모두가 지켜야 할 세계유산이 되었습니다.

그 긴 여정의 끝에서 드디어, 우리는 이렇게 선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울산 반구천 암각화, 드디어 한국의 17번째 세계유산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