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5년 12조 2천억 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편성하면서,
용도 제한이 없는 일반 예비비 4000억 원을 슬그머니 포함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목차]
📋 핵심 요약
구분 | 내용 |
추경 총액 | 12조 2000억 원 |
재해·재난 예비비 편성 | 1조 4000억 원 |
이 중 일반 예비비 | 4000억 원 |
문제 제기 포인트 | 일반 예비비 존재를 공개하지 않고 발표 |
✅ 추경안 상세 내용
기획재정부는 지난 18일,
“산불 추가 복구와 여름철 태풍·집중호우 등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재해·재난 예비비를 1조4000억 원 보강했다”
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세부 내역을 살펴보면,
- 실제 재난 목적의 ‘목적 예비비’는 1조 원
- 사용처가 자유로운 ‘일반 예비비’가 4000억 원
으로 구성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기재부는 공식 발표에서는 일반 예비비 편성 사실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습니다.
🧠 과거와 비교해 왜 문제가 되나?
과거 재해·재난 추경에서는 목적 예비비만 편성하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연도 | 추경 목적 | 일반 예비비 포함 여부 |
2002년 (태풍 루사) | 재해대책 | ❌ |
2003년 (태풍 매미) | 재해대책 | ❌ |
2006년 (태풍 에위니아) | 재해대책 | ❌ |
2025년 (이번) | 재해·재난 대응 + 일반 예비비 포함 | ✅ |
👉 이번이 최초로 재해 추경에 일반 예비비가 편성된 사례입니다.
📢 기재부 해명은?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국회에서 예비비가 과도하게 삭감돼 가용 재원이 거의 없다”
“산불 복구 이후에도 통상적 이슈나 예상치 못한 재해에 대응하려면 일반 예비비가 필요하다”
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민주당 주도로 정부 예비비가 절반 가까이 삭감된 상황이었습니다.
- 기존 정부 제출안 4조8000억 원 → 국회 통과안 2조4000억 원
- 이 중 일반 예비비는 2조2000억 원 → 8000억 원으로 축소
기재부는 이 점을 들어 불가피한 대응이었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 논란의 핵심
- 📌 명확히 설명하지 않고 일반 예비비를 ‘재난 대응’ 명목 아래 끼워넣었다는 점
- 📌 국회 통과 때 국민 세금의 사용처를 분명히 해야 한다는 원칙 위반 우려
- 📌 “쌈짓돈처럼 쓸 수 있는 일반 예비비 확보” 비판
전문가들은
“필요하다면 솔직하게 국민에게 설명하고 요청했어야 했다”
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 생각해봅시다
- 재난·재해 명분으로 일반 예비비를 끼워넣는 방식, 정당할까요?
- 정부 재정 운영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지키려면 어떤 제도가 필요할까요?
'알아가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혼숙려캠프” 출연 강지용 前 축구선수, 갑작스러운 사망…그가 남긴 이야기 (2) | 2025.04.23 |
---|---|
35년 만에 일본에 수출된 한국 쌀, 완판 행진! 현지 반응은? (0) | 2025.04.23 |
쯔양, 수사관 기피 신청 후 경찰 사건 재배당…수사 공정성 논란 불거져 🔍 (1) | 2025.04.19 |
'독도는 일본 땅' 주장한 日 전시관 재개관…외교부, 주한 일본 총괄공사대리 초치 항의 (0) | 2025.04.18 |
불법도박 혐의 이진호 검찰 송치, 23억 빚더미… 연예계 충격 🚨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