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들어 주유소 기름값 상승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11월에 들어서며 유류세 인하 폭이 축소되면서, 휘발유와 경유 가격 모두 다시 오름세로 전환된 모습입니다. 여기에 국제유가 상승이라는 외부 요인까지 더해져, 당분간 기름값 상승세는 계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목차]

⛽ 기름값, 3주 만에 반등…전국 평균 1,666.5원
한국석유공사의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2025년 10월 다섯째 주 기준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가격은 리터당 1,666.5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주 대비 5.4원 상승한 수치로, 3주 만에 다시 오름세로 돌아선 것입니다.
📊 지역별 휘발유 가격 (2025.11.01 기준)
- 서울: 리터당 1,732원 (전주 대비 +10.9원)
- 대구: 리터당 1,639.5원 (전주 대비 +7.7원)
- SK에너지 주유소: 평균 1,675.5원
- 알뜰주유소: 평균 1,639.6원
경유 가격도 마찬가지입니다. 평균 1,541.7원으로 1주 만에 다시 상승세로 전환되며, 소비자 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습니다.

📈 국제유가 + 유류세 인상 = 기름값 상승 압박
기름값 인상에는 두 가지 큰 요인이 작용했습니다.
1. 국제유가 상승
- 두바이유: 배럴당 65.8달러 (+0.3달러)
- 국제 휘발유: 배럴당 79.6달러 (+2.5달러)
- 국제 경유: 배럴당 93.0달러 (+4.5달러)
국제유가가 오른 배경에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완화, 러시아 제재 여파 지속, OPEC+의 증산 우려 완화 등이 있습니다.
※ 참고로, 국제유가 변동은 보통 2~3주 후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됩니다.
2. 유류세 인하율 축소
정부는 그동안 고유가 대응책으로 유류세 인하 조치를 시행해 왔지만, 11월 1일부터 유류세 인하 폭을 줄이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로 인해 주유소 기름값 상승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다음 주에도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
"국제유가의 지속적인 상승과 유류세 인하율 축소의 영향으로, 주유소 기름값은 당분간 오를 가능성이 크다."

🔍 소비자가 알아야 할 3가지 체크포인트
기름값이 오르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가격 비교 필수:
오피넷(opinet.co.kr)이나 주유소 가격 비교 앱을 통해 가장 저렴한 주유소를 확인하세요. - 알뜰주유소 이용:
상대적으로 리터당 20~30원 저렴할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하세요. - 연비 절약 습관:
급가속, 공회전 등 연비를 떨어뜨리는 습관을 줄이면 주유 횟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싼 주유소 찾기 오피넷
www.opinet.co.kr
✅지금은 정보를 아는 만큼 기름값을 아낄 수 있는 시대
현재의 주유소 기름값 상승은 일시적인 변동이 아니라,
유류세 인상과 국제유가 흐름이라는 구조적 요인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이런 시기일수록, 소비자 스스로가 정보를 무기처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국제정세, 환율, 정부 정책 등 다양한 요소가 기름값에 영향을 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주유 전략을 세우고,
합리적인 소비 습관을 갖춘다면 기름값 상승 속에서도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 기름값이 오를수록, 정보에 민감한 소비자만이 지갑을 지킬 수 있습니다.
주유소 찾기부터 주행 습관까지, 지금부터 준비해보세요!
'알아가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제주도 수학여행 사고 발생! 8층서 추락한 고교생…안전 대책은 어디에? (0) | 2025.11.06 |
|---|---|
| 이사했는데 건강보험 고지서가 안 와요? 이유와 해결방법 총정리! (0) | 2025.10.27 |
| 북한군 20여명 MDL 침범…우리 군 경고사격, 군사 긴장 고조 (0) | 2025.10.24 |
| 이스라엘, 가자 향하던 구호선단 나포…한국인 활동가 석방 요청 중 (0) | 2025.10.08 |
| 🗞️ 주진우 ‘잃어버린 48시간’ 주장…대통령실 ‘허위 주장’에 강력 반박…진실은? (0) | 2025.10.03 |